한국 전통 다예 - 차 우리는 방법 

광주 지산동 다연(茶緣)에서...  

다시 만난 인연

 지난 여름 무작정 떠난 동유럽 여행에서 만난 친구가 한국에 왔습니다. 가이드도 해주고 한국말도 공부해서 한국에 정말 관심이 많은 친구였죠.  차를 정말 좋아하는 친구라서 함께 다연이라는 전통 찻집을 찾아가게 되었어요. 거기서 함께 마시면서 들은 차에 대한 이야기와 전통차 우리는 방법에 대해 적어 보기로 하겠습니다.  
 

차와 함께하는 인연... 다연(茶緣)을 찾아가다.

 다연은 전라남도 광주시 지산동에 있는 전통 찻집 입니다.
위치를 찾아서 표시해 주고 싶지만.. 등록이 안 되어 있나 보군요. ㅠㅠ 여기 사장님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차를 배우기 시작했다고 하는 군요. 연세는 여쭤보지 못했지만.. 25살 아드님이 계신다니.. 얼마나 오랜 세월을 차와 함께 살아 왔는지 알수 있겠지요?

다예  - 차(茶) 다기(茶器)의 종류

 궁금하신건 차를 어떻게 우려 먹는 거냐.. 일테니... 빠르게 적어 보도록 할게요. 
먼저 어떤 걸 사용해서 먹느냐를 이야기 해 드리겠습니다. 



왼쪽 상단부터 차탁(茶托, 찻잔 받침) , 찻잔(茶盞) , 차칙(茶則, 차를 떠내는 대나무 수저) 또는 차시(茶匙 , 작은 것), 
아래 줄에 다관(茶罐, 차 주전자), 숙우(熟盂, 물 식힘 그릇), 다건(茶巾) 또는 차건(茶巾) , 잘 보이지 않지만 오른쪽 끝에 다기를 덮어 놨던 붉은 보자기를 홍보(紅褓)라 합니다. 모든 다기가 올라가 있는 상을 찻상(茶床)이라고 하지요.

 



기본적으로 준비된 다기에다가 오늘 마실 차를 가지고 오셨습니다. 
다반(茶盤, 찻잔 등을 나를 때 쓰는 판)에 차호(茶壺, 차를 담아두는 그릇)에 연잎차를 담아 쑥으로 만든 떡과 함께 담아 가지고 오셨네요. 왼쪽 상단에 홍보(紅褓)가 보이네요. 여기는 보이지 않지만 차 물을 버리거나 다관에서 차를 씻어낼 때 쓰는 퇴수기(退水器, 물 버림 그릇)가 항상 함께 있어야 합니다. 여기도 있는데.. 사진을 못찍었네요.

 

다예 - 차(茶) 우리는 방법

 차를 우리는 것에도 순서가 있고 예의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가장 중요한 맛을 내기 위해 어떤 과정이 필요한지 알아야 하겠지요


차를 우려 먹을 때는 

먼저 뜨거운 물 70 ~ 80 도의 물을 숙우에 담는다.

(물을 숙우에 담았다가 다관으로 옮기는 이유는 데운 물이 숙우에 들어가면서 한번 식고 다시 다관으로 옮겨지는 도중에 한 번 더 식으면서 차를 우리기 좋은 온도로 만들기 위함입니다. 물이 너무 뜨겁다 싶으면 숙우에서 다관으로 물을 옮길때 물을 떨어뜨리는 높이를 높여서 옮겨지는 가운데 더 식히도록 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차를 우리는 온도를 조절 할 수 있습니다.)



담은 물을 다시 다관으로 옮기고 차건으로 받쳐서 살살 흔들면서 다관을 데워준다. 
다관이 데워지면 찻잔으로 옮겨서 찻잔을 데워준다.

(다관과 찻잔을 데우는 이유는 차를 우리는 온도가 숙우에서 옮겨올 때의 온도에서 변화를 겪지 않도록하기 위함<우리는 시간에 영향을 줍니다.>이며 우려진 차를 가장 먹기 좋은 온도에서 마시기 위해 찻잔 또한 데워 놓습니다.)

다관과 찻잔이 데워졌으면 먼저다관에 남은 물은 퇴수기(退水器, 물 버림 그릇)에 담아 버리고 비어있는 다관에 찻잎을 넣는다. 찻잎은 마실 사람 수에 맞추어 넣고 그에 맞는 양의 물(차 우림물)을 수구에 따라줍니다. 숙우에 따라져 있는 물을 다시 다관으로 옮기고 차건으로 받쳐서 살살 흔들어 우려내 준다. (약 2분정도 온도에 따라 조절가능)

  









다예 - 맛과 향을 느껴보자

특별히 매뉴에도 없는 연잎차를 우려 주셨습니다. ㅎㅎ 
일단 그 향과 맛을 간단히 평가해 보자면  부드러우면서 살짝 머금고 있으면 입안에 연잎향이 가득 담기는 느낌입니다.
목넘김도 부드럽고 다 마신후에도 입안에 향이 남아서 여운이 느껴지네요.

새로운 경험이었습니다.
한잔 두잔 마시다보니.. 어느새 1리터는 마신것 같은 느낌이네요.. 정신없이 마시고 있었습니다.
좋은 사람과 이야기도 함께 하다보니.. 분위기도 한몫 한 것 같네요 ㅎㅎ

 

Posted by 朧月 :

8월 개편후 홈페이지 버전kt CGV 요금제 영화 예매 하기

고객을 발로 뛰게 만드는.. 홈페이지..
    영화를 예매해 보자!!!

kt CGV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영화나 한 편 볼까 생각하고 있는데.. 홈페이지가 개편되서.. 이거 원.. 찾을 수가 없네요.. ㅡㅡ^^

방법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를 읽어보시고..
급하다 현기증난다 하시는 분들은 이 링크를 따라가세요
http://mobile.olleh.com/index.asp?code=CCCCC00
 

로그인 > 상품안내


말이 필요 없습니다. 그림만 보면서 따라오세요. 
로그인 을 하시고  상품안내 을 클릭하세요 원래는 요금제/ 부가서비스인가.. 거기에 있었는데.. 위치가 바뀌었습니다.
 




모바일 > 영화 예매


그 다음  모바일 을 누르고 아래 목록중에 영화 예매 를 클릭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내가 없으니 이걸.. 찾느라고 생 고생을 하죠. ㅠㅠ 





영화예매 > CGV 영화요금패키지 예매하기

영화 예매에서 CGV 영화요금패키지 예매하기 누르시면 다음 단계로 이동 합니다. 




무료 예매하기 > 극장 & 영화선택 및 예매 


클릭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무료 예매하기를 누르시면 예매가 가능합니다.

더 자세한 안내를 받고 싶으신 분들은 오른쪽 하단을 읽어보시면 되실 것 같고 전 귀찮아서 패스합니다.
 




무료 예매하기를 눌렀을 때 주민번호를 확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확인하고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가운데에 생기게 됩니다.

예전에 예매하던 것과 같은 방식이니까.. 따라가면서 예매하시면 되겠습니다. 





고객은 발로 그만뛰게하고 

안내나 좀 친절하게 해주세요 .

얼마나 답답했으면 포스팅을 새로 했을까요...? 

얼마전 정보가 잘못 됐다는 이야기를 듣고 다시 수정했습니다.
제가 포스팅 한 이후에 한번 더 개편을 했는데.. 그때 바뀐것 같습니다.
제가 착각한 부분도 있는 것 같고요./  

Posted by 朧月 :

마음에 감정이 쌓여 응어리가 지면.. 

나도 모를 깊이가 노래에 묻어나는 것 같다.

감정이 음악 속으로 깊이 들어가서.. 그 울림이 소리를 따라 전해지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그 만큼의 곡절과.. 굴곡을 겪어 왔기에.. 그 것이 담긴 노래와 가슴 시린 마음을 노래할 수 있는 것 같다...


 
Posted by 朧月 :

Admin